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헌터145

코로나 자가격리 지원금 대상자 금액 신청방법 총정리 코로나 자가격리 지원금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밀접접촉자로 분류가 되면 14일동안 자가격리를 하게 됩니다. 회사를 다닐 경우 유급휴가를 사용하게 해 주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주 곤란하죠. 자기가 방역수칙을 어긴 것도 아닌데 확진자와 밀접접촉자가 되었단 이유로 자가격리를 해야 하는데, 그 기간 동안 월급도 못 받게 된다면 정말 힘들 것 같은데요, 이럴 경우 자가격리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가격리 지원금이란? 자가격리자 생활지원금은 보건소에서 통지를 받은 자가격리자나 입원격리자를 대상으로 주는 지원금입니다. 정부와 자치단체가 각각 50% 씩의 예산을 지원해서 가구 규모별로 지급하게 됩니다. 지급대상 : 자가격리자 본인과 가구원 모두 유급휴가를 받지 않으면 신청 가능합니다. 코로나.. 2021. 7. 3.
클리셰 뜻 유래까지 확실히 알아보겠습니다. 클리셰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화나 드라마를 볼때 항상 등장하는 장면들이 있습니다. 처음 보는 것임에도 뻔히 다음 장면이 예상되거나 전개가 훤히 보이는 틀에 박힌 장면들을 클리셰라고 부르는데요, 정확한 뜻과 유래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클리셰 뜻 간단하게 정리하면 상투적이고 진부적인 표현을 뜻합니다. 비슷한 상황에서 여러번 사용되어 보는 사람들이 뻔히 아는 장면이나 표현들, 너무나 익숙해서 신선할게 없는 장면들을 보면 진부하다는 얘기가 저절로 나오게 되죠. 특히 우리나라 드라마에서 많이 찾아볼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덜한것 같긴 하지만, 툭하면 기억상실에 걸리는 주인공이 있습니다. 여지껏 살면서 주위에서 어떤 사고를 당해도 기억상실에 걸렸다는 얘기는 한번도 들은적이 없는데, 드라마만 보면 .. 2021. 7. 2.
2021년 초복 중복 말복 정확히 알아보겠습니다 여름에 삼복더위란 말이 있습니다. 1년중 가장 더운 기간을 삼복더위라고 하며, 초복,중복,말복이 있죠. 각각 복날이라고 해서 삼계탕등의 복달임음식을 먹으며 더위에 대비하는게 오랜 전통이죠. 복날에서 복(伏) 자는 '엎드릴 복'자를 쓰는데 너무 더워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지낸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삼복은 초복,중복,말복으로 나뉘며 더위에 세 번 굴복한다는 삼복이라고 하죠. 초복 : 하지로부터 세번째 경일 중복 : 하지로부터 네번째 경일 말복 : 입추로부터 첫번째 경일 여기서 경일은 '천간'에 해당하는 날을 얘기하는데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입니다. 복날은 음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매년 날짜가 달라집니다. 2021년 초복,중복,말복 2021년 초복은 7월11일(일요일), 중복은 .. 2021. 6. 30.
소득 하위 80% 기준 총정리 5차 재난지원금에 해당되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은 소득 하위 80%를 대상으로 지원되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소득 하위 80%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정리해보겠습니다. 소득 하위 80% 기준 소득 하위 80% 는 간단하게 얘기해서 소득순으로 10명을 나란하게 배열했을때 아래서부터 8명을 뜻하게 됩니다. 소득 기준은 건강보험료를 활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데요, 2021년 중위소득 건강보험료 기준에 따른 소득 하위 80%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인 가구는 월 365만5662원, 2인 가구는 월 617만6158원, 3인 가구 796만7900원, 4인 가구 975만2580원, 5인 가구 1151만4746원, 6인 가구 월 1325만7206원으로 이보다 월 소득이 아래면 .. 2021. 6. 29.
반응형